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반응폭주(Runaway Reaction) | 화학반응속도론과 안전공학으로 푸는 이야기

by 화공기술쟁이 2025. 9. 5.

작은 온도 상승이 큰 폭발로 이어질 수 있는 이유, 화학공학으로 풀어봅니다.

반응폭주(= 폭주반응)란 무엇인가?

반응폭주(Runaway Reaction)는 화학반응이 제어되지 않고 급격히 가속되어 폭발적 상황에 이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주로 발열반응(Exothermic Reaction)에서 발생하며, 반응열을 제거하지 못할 때 시스템 온도가 올라가고, 반응속도가 더 빨라져 결국 폭발·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사고 사례로 보는 반응폭주

  • 미국 Texas City(1947): 비료용 질산암모늄 화재·폭발
  • 한국 구미(2012): 불산 누출 사고, 반응열 관리 미흡
  • 인도 보팔(1984): 메틸이소시아네이트(MIC) 폭주 반응 → 대규모 인명 피해

이런 사고들은 모두 열 제거 실패 → 온도 상승 → 폭주(Runaway)라는 공통점을 가집니다.

화학반응속도론으로 본 폭주 메커니즘

반응속도는 아레니우스 식(Arrhenius Equation)에 의해 온도에 크게 의존합니다.

k = A · exp(-Ea / RT)
  • T(절대온도)가 조금만 상승해도, exp 항 때문에 k(반응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Ea :  활성화에너지, R : 기체상수, A : 상수)
  • 속도 ↑ → 발열 ↑ → 다시 온도 ↑ → 양의 피드백 루프 형성

이때 시스템이 흡수·방출할 수 있는 열역학적 균형을 잃으면, 반응폭주가 시작됩니다.

화공학에서의 반응폭주 조건

  • 열발생 > 열제거일 때
  • 교반 불량으로 국소 과열 발생
  • 냉각수·냉매 공급 중단
  • 촉매·불순물로 예상치 못한 반응 개시

즉, 반응폭주는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속도론·열역학이 결합된 시스템 붕괴입니다.

안전공학적 예방 방법

1. 공정 설계 단계

  • 반응열, 활성화에너지, 발화온도 데이터 확보
  • 안정한 운전 온도·압력 범위 설계
  • 안전밸브(PSV), 긴급 냉각라인 확보

2. 운전·제어 단계

  • 온도·압력 실시간 모니터링
  • 자동 차단·비상정지(ESD) 시스템
  • 냉각수 유량·전원 이중화

3. 사고 대응

  • 폭주 발생 시 압력 해소 → 플레어 스택, 벤트 시스템 가동
  • 폭발 방지 위해 불활성 가스(N₂, CO₂) 주입

화학공학 연구에서의 반응폭주

화공 엔지니어는 반응폭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열량계(Calorimeter) 실험을 수행합니다.

  •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반응열 특성 분석
  • ARC (Adiabatic Reaction Calorimeter): 단열 조건에서 폭주 특성 측정
  • VSP (Vent Sizing Package): 압력 상승율 측정, PSV 사이징

이 데이터는 공정 안전 설계의 기초 자료가 됩니다.

FAQ

Q. 반응폭주와 단순 폭발의 차이는?

A. 반응폭주는 화학반응 자체가 제어되지 않고 가속된 경우, 단순 폭발은 외부 충격·압력 상승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Q. 모든 발열반응이 폭주 위험이 있나요?

A. 네, 하지만 냉각·제어가 잘 되어 있으면 안전합니다. 위험성은 공정 조건과 설계에 달려 있습니다.

Q. 실험실에서도 반응폭주가 생기나요?

A. 소규모 실험에서도 냉각 실패·과산화물 축적 등으로 충분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핵심 요약

  • 반응폭주 = 발열반응에서 열제거 실패 → 온도 상승 → 반응속도 폭발적 증가
  • 아레니우스 식이 보여주는 “온도-속도 기하급수 관계”가 원인
  • 예방 = 안전 설계(PSV, 냉각라인), 실시간 모니터링, 비상 시스템
  • 화학공학 = 열역학 + 반응속도론 + 안전공학의 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