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RE100이란? | 100% 재생에너지와 화학공학 산업의 미래

by 화공기술쟁이 2025. 9. 5.

글로벌 기업들이 선언하는 RE100, 그리고 화학공학이 뒷받침해야 할 기술들

RE100이란 무엇인가?

RE100 (Renewable Energy 100%)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태양광, 풍력, 수력, 지열, 바이오매스 등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글로벌 캠페인입니다. 2014년 영국 NGO The Climate Group이 시작했고, 현재 애플·구글·삼성·현대차 등 400개 이상의 글로벌 기업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왜 RE100이 중요한가?

기업들은 더 이상 “친환경”을 선택이 아닌 생존 전략으로 보고 있습니다.

  • 기후위기 대응: 온실가스 감축, 탄소중립 달성
  • 투자자 요구: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 반영
  • 소비자 신뢰: 친환경 브랜드 이미지 강화
  • 규제 대응: EU CBAM(탄소국경조정제도) 등 무역 장벽 대응

즉, RE100 참여 여부가 곧 기업 경쟁력으로 연결됩니다.

글로벌 기업들의 RE100 사례

  • 애플(Apple): 본사·데이터센터 100% 재생에너지, 공급망도 2030년까지 RE100 목표
  • 구글(Google): 2030년까지 전 세계 모든 사업장을 탄소중립 운영
  • 삼성전자: 미국·유럽·중국 사업장 RE100 달성, 한국 공장은 단계적 확대
  • 현대자동차: 글로벌 생산기지 RE100 선언, 수소연료전지와 연계

이처럼 IT·자동차·제조업을 넘어 석유화학·철강 기업들도 RE100 참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화학공학과 RE100

에너지 집약적 산업인 화학·정유·철강 업종은 RE100 전환이 특히 어렵습니다. 하지만 화학공학적 기술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 에너지 효율 향상: 반응열 회수, 폐열 발전, 고효율 열교환기
  • 전력 전환: 화력보일러 대신 전기로, 수소연료 기반 공정
  • 재생에너지 통합: 태양광·풍력 발전 전력을 공장 운영에 직접 연계
  • 에너지 저장 기술: 배터리, 수소 저장, 압축공기 저장 시스템
  • 스마트 그리드: 공정 제어와 전력망을 연계해 변동성 대응

즉, RE100은 단순히 전기요금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화학공학적 공정 혁신이 뒷받침되어야 가능한 목표입니다.

RE100의 도전 과제

  • 재생에너지 변동성: 태양광·풍력 발전의 출력이 일정하지 않음
  • 전력망 한계: 대규모 재생에너지 수용을 위한 송전망 강화 필요
  • 경제성: 초기 투자 비용 부담
  • 산업적 적용: 고온·고압 공정을 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기술 개발 필요

화학공학은 이러한 문제를 효율적 공정 설계·신소재 개발·저탄소 기술로 풀어내야 합니다.

RE100과 우리의 일상

RE100은 기업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개인도 재생에너지 확대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재생에너지 요금제 선택 (Green Pricing)
  • 에너지 효율 높은 제품 구매
  • 친환경 기업 제품·서비스 선택

소비자의 선택이 모이면, 기업의 RE100 참여 속도도 빨라집니다.

FAQ

Q. RE100과 탄소중립은 같은 건가요?

A. RE100은 전력 소비를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이고, 탄소중립은 전반적 온실가스 배출을 0으로 맞추는 개념입니다.

Q. 한국 기업들은 왜 RE100 전환이 느린가요?

A. 재생에너지 전력 공급 비중이 낮고, 전력시장의 제약이 많기 때문입니다.

Q. RE100 참여가 기업에 어떤 이익을 주나요?

A. 글로벌 무역 규제 대응, 투자자 신뢰 확보, 친환경 브랜드 이미지 강화 등 다양한 경쟁력을 제공합니다.

핵심 요약

  • RE100 =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
  • 애플·구글·삼성 등 글로벌 기업 참여 확대
  • 화공학은 공정 효율, 에너지 저장, 수소 연계 기술로 RE100 실현 지원
  • 개인 선택도 RE100 확산에 중요한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