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스티렌(Styrene) 이야기 |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쉽게 풀어드립니다

by 화공기술쟁이 2025. 9. 17.

일회용 컵에서 ABS 플라스틱까지, 스티렌이 만드는 세상

스티렌이란 무엇일까?

스티렌(Styrene, C₆H₅CH=CH₂)은 벤젠 고리에 비닐기(-CH=CH₂)가 붙은 구조를 가진 불포화 탄화수소입니다. 상온에서는 무색 액체로, 특유의 약간 달콤하면서도 자극적인 냄새가 있습니다. 가장 큰 특징은 중합 반응을 통해 다양한 플라스틱 원료로 활용된다는 점입니다.

스티렌의 생산

스티렌은 주로 에틸벤젠(Ethylbenzene)의 탈수소 반응으로 생산됩니다.

  1. 에틸벤젠 제조: 벤젠 + 에틸렌 → 에틸벤젠
  2. 탈수소 반응: 에틸벤젠 → 스티렌 + 수소

이 공정은 석유화학의 대표적인 탈수소화 반응으로, 화공학에서 열역학·촉매 설계가 핵심입니다.

스티렌의 화학적 성질

  • 중합 반응: 라디칼 중합으로 폴리스타이렌(PS) 형성
  • 공중합 반응: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과 공중합 → ABS, SBR 등
  • 반응성: 이중결합 + 벤젠 고리 → 치환·첨가 모두 가능

즉, 스티렌은 “단독으로도, 함께 써도” 플라스틱 산업의 기초가 되는 다재다능한 모노머입니다.

스티렌의 산업적 활용

1. 폴리스타이렌 (PS)

스티렌 단량체를 중합해 얻는 플라스틱으로, 가볍고 가공성이 뛰어납니다.

  • 용도: 일회용 컵, 식품 용기, 포장재, 발포 스티렌(EPS) 스티로폼
  • 특징: 투명성·단열성 우수, 가격 저렴

2. AB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을 공중합한 고분자. 강도·광택·가공성을 동시에 잡아 가전제품, 자동차, 레고 블록에 활용됩니다.

3. 합성고무 (S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는 내마모성과 접착성이 좋아 자동차 타이어의 핵심 소재입니다.

4. 기타 응용

  • 코팅재·접착제
  • 전자기기 하우징
  • 건축 내외장재

화공학적 관점에서 본 스티렌

스티렌 생산과 활용에는 여러 화공학 지식이 적용됩니다.

  • 열역학: 에틸벤젠 탈수소 반응 평형 해석
  • 촉매공학: 산화철·칼륨 촉매로 선택도 향상
  • 분리공학: 중합 방지제를 넣어 안정화 후 정제
  • 고분자공학: 공중합 비율 조절로 ABS, SBR의 성질 맞춤화

즉, 스티렌은 단순 원료가 아니라 화공학의 여러 분야가 융합된 핵심 물질입니다.

환경과 안전

스티렌은 유용하지만, 환경·안전 측면에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 揮발성: 상온에서 기화 → 실내 공기 오염 가능
  • 건강 영향: 고농도 노출 시 신경계·호흡기 영향, 발암성 의심 물질 분류
  • 환경 문제: 스티렌 기반 플라스틱(PS, ABS) → 미세플라스틱 발생

따라서 생산·취급 시 밀폐·환기·안전 규제가 엄격히 적용됩니다.

FAQ

Q. 스티렌은 어디에 가장 많이 쓰이나요?

A. 일회용 용기(폴리스타이렌)와 자동차 부품(ABS, SBR 타이어)이 대표적입니다.

Q. 스티렌 자체는 안전한가요?

A. 일반 생활제품에선 안전하게 쓰이지만, 원료 상태에서는揮발성과 독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Q. 스티렌 플라스틱은 재활용이 되나요?

A. 일부 재활용 가능하나, 품질 저하 문제가 있어 화학적 재활용 기술이 연구 중입니다.

핵심 요약

  • 스티렌 = 벤젠 고리에 비닐기 결합한 불포화 탄화수소
  • 생산 = 에틸벤젠 탈수소 반응으로 얻음
  • 활용 = PS, ABS, SBR 등 플라스틱·고무 원료
  • 화공학 = 열역학·촉매·고분자공학이 결합된 핵심 물질
  • 환경·안전 =揮발성·발암성 의심으로 관리 필요

 

 

PE·PC·PS, 일상 속 플라스틱과 화학공학 | 중합반응으로 보는 생활 소재 이야기

비닐봉지부터 안경 렌즈, 컵라면 용기까지… 화학공학이 만든 플라스틱의 세계플라스틱이란 무엇인가?플라스틱(Plastic)은 고분자 물질로, 작은 분자(모노머)가 중합반응(Polymerization)을 통해 길게

afterworklab.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