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생분해성 플라스틱 이야기 | PLA, PHA를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풀어드립니다

by 화공기술쟁이 2025. 9. 18.

비닐봉투를 넘어, 친환경 플라스틱 시대를 여는 새로운 대안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란?

생분해성 플라스틱(Biodegradable Plastics)은 자연계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물과 이산화탄소로 전환되는 플라스틱을 말합니다. 기존의 석유계 플라스틱(PE, PP, PS)은 수백 년 동안 분해되지 않지만,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수개월~수년 내 분해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종류가 PLA(폴리락틱애시드)PHA(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입니다.

PLA (Polylactic Acid, 폴리락틱애시드)

PLA는 옥수수·사탕수수 같은 식물성 전분에서 얻은 젖산(Lactic Acid)을 중합해 만든 고분자입니다.

  • 장점: 투명성, 가공성 우수 / 산업적 대량생산 가능
  • 용도: 일회용 컵, 포장재, 빨대, 3D 프린팅 필라멘트
  • 제한: 내열성이 낮아 뜨거운 액체 용기는 부적합

즉, PLA는 “식물에서 온 플라스틱”이라 할 수 있습니다.

PHA (Polyhydroxyalkanoates,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PHA는 미생물이 대사 과정에서 합성하는 고분자 물질입니다. 즉, 세균이 만들어내는 천연 플라스틱입니다.

  • 장점: 생분해 속도 빠름, 토양·해양에서도 분해 가능
  • 용도: 의료용 봉합사, 포장재, 필름
  • 제한: 생산 비용 높음 → 대량 상용화 과제

PHA는 해양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화학공학의 관점에서 본 생분해성 플라스틱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단순히 “썩는 플라스틱”이 아닙니다. 화공학적으로 설계된 대체 소재입니다.

  • 공정공학: 발효·중합 공정 최적화 (PLA = 젖산 중합, PHA = 미생물 발효)
  • 재료공학: 기계적 물성 강화(내열성, 인장강도 개선)
  • 환경공학: 생분해 속도 제어, 폐기 후 안전성 검증

즉, PLA와 PHA는 화공학의 바이오 + 고분자 + 환경이 결합된 대표적 사례입니다.

일상 속 활용

  • PLA 빨대, 컵, 식품 포장 → 카페·레스토랑에서 친환경 인증 제품
  • PHA 의료용 봉합사 → 체내에서 자연 분해
  • PLA 3D 프린팅 필라멘트 →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소재
  • PLA·PHA 혼합재 → 비닐봉투, 코팅지 대체

이미 많은 곳에서 “환경부담금 없는 대안”으로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쓰이고 있습니다.

환경과 미래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지구온난화·해양 오염·미세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할 중요한 열쇠로 주목받습니다. 하지만 아직 넘어야 할 과제도 있습니다.

  • 생산비용이 높아 가격 경쟁력 부족
  • 일부 제품은 고온·산업퇴비 환경에서만 분해
  • 물성 한계(내열성, 내충격성)

따라서 화공학계에서는 저비용 대량 생산, 고성능 바이오 플라스틱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FAQ

Q. PLA 제품은 일반 쓰레기로 버려도 되나요?

A. 일부 PLA는 산업 퇴비화 시설에서만 잘 분해됩니다. 일반 매립에서는 분해가 더딜 수 있어 관리가 필요합니다.

Q. PLA와 PHA의 가장 큰 차이는?

A. PLA는 옥수수·사탕수수 등 식물 기반, PHA는 미생물이 직접 합성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Q.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완벽한 해결책인가요?

A. 환경 부담을 줄일 수 있지만, 가격·물성 문제로 아직은 보완이 필요합니다.

핵심 요약

  • 생분해성 플라스틱 = 자연에서 미생물로 분해되는 플라스틱
  • PLA = 옥수수·사탕수수 기반, 포장재·3D 프린팅
  • PHA = 미생물이 합성, 해양 분해 가능, 의료용 활용
  • 화공학 = 발효·중합·재료공학이 결합된 친환경 솔루션
  • 과제 = 가격·물성·분해 환경 → 미래 연구 필요

 

 

PE·PC·PS, 일상 속 플라스틱과 화학공학 | 중합반응으로 보는 생활 소재 이야기

비닐봉지부터 안경 렌즈, 컵라면 용기까지… 화학공학이 만든 플라스틱의 세계플라스틱이란 무엇인가?플라스틱(Plastic)은 고분자 물질로, 작은 분자(모노머)가 중합반응(Polymerization)을 통해 길게

afterworklab.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