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

ABS 플라스틱 이야기 |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쉽게 풀어드립니다 레고 블록부터 자동차 부품까지, ABS 속 화공학ABS란 무엇일까?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는 이름 그대로 아크릴로니트릴(A), 부타디엔(B), 스티렌(S) 세 가지 모노머를 공중합해 만든 고분자입니다. 단일 고분자보다 세 가지 성분이 섞이면서 강도·탄성·가공성을 동시에 갖춘 것이 특징입니다.즉, ABS는 “다재다능한 플라스틱”의 대표 주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ABS의 화학적 구조아크릴로니트릴 (A): 내화학성, 강도 부여부타디엔 (B): 충격 흡수, 탄성 부여스티렌 (S): 가공성, 광택 부여이 세 성분이 적절히 결합하면, ABS는 강하면서도 유연하고, 매끈하면서도 잘 가공되는 특성을 가지게 됩니다.ABS의 주요 특징충격강도 우수 → 잘 깨지지 않고 충격을 흡수.. 2025. 9. 17.
라돈(Radon) 이야기 | 침대와 건축자재 속 보이지 않는 방사성 가스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쉽게 풀어보는 라돈의 정체와 안전 대책라돈이란 무엇일까?라돈(Rn)은 원자번호 86번의 비활성 기체로, 천연 방사성 동위원소입니다. 무색·무취라서 눈이나 코로는 감지할 수 없고, 공기보다 무거워 밀폐된 공간에 잘 머무릅니다.라돈은 지각 속에 존재하는 우라늄(U), 토륨(Th)이 붕괴하는 과정에서 생성됩니다. 따라서 토양·암석·건축자재에서 자연스럽게 방출될 수 있습니다.라돈은 어디서 발생할까?자연적 발생: 흙, 암석, 지하수에서 자연 방출건축자재: 화강암, 석재, 석고보드에서 일부 라돈 방출 가능생활제품: 과거 일부 침대 매트리스, 건강제품에서 라돈 검출 사례밀폐 공간: 환기가 부족한 지하실, 아파트 저층 등특히 한국에서는 침대 속스프링과 음이온 파우더에서 라돈이 검출되어 사회적 논란이.. 2025. 9. 16.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이야기 | 새집증후군과 화학공학 집 안 공기 속에 숨어 있는 보이지 않는 화학물질, VOCs를 화공엔지니어가 풀어드립니다VOCs란 무엇일까?휘발성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은 상온에서 쉽게 기화하는 유기 화합물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벤젠, 자일렌 등이 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공기 중에 존재하며, 실내 공기질 악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일상 속 VOCsVOCs는 우리의 생활 곳곳에서 발생합니다.새집증후군: 건축자재, 접착제, 도료에서 방출가구: 합판, 가죽, 코팅재에서 발생가정용품: 방향제, 세정제, 헤어스프레이자동차: 대시보드·시트에서 방출되는 가스산업현장: 도장, 세척제, 용제 사용 시 발생즉, VOCs는 집 안·직장·차 안 어디서든 우리 주변에 있습니다.. 2025. 9. 16.
미세플라스틱 이야기 |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쉽게 풀어드립니다 플라스틱의 편리함 뒤에 숨어 있는 작은 위협, 미세플라스틱의 모든 것미세플라스틱이란?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은 크기가 5mm 이하인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말합니다. 플라스틱 제품이 햇빛, 마찰, 해류 등에 의해 잘게 부서지면서 생기거나, 세안제·치약 등에 들어 있던 마이크로비즈(Microbeads) 형태로도 존재합니다.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지만, 바다·토양·대기 어디서나 발견되고 있습니다.일상 속 미세플라스틱생수병: PET 병 사용·재활용 과정에서 마모합성섬유: 세탁 시 옷감에서 떨어져 나가는 작은 섬유 조각타이어 마모: 도로 마찰로 발생하는 고무 미세입자세안제·화장품: 과거에 쓰이던 스크럽용 마이크로비즈가정용 플라스틱 용기: 전자레인지 사용 시 미세 입자 방출 가능즉, 미세플라스틱은.. 2025. 9. 15.
BPA Free란 무엇일까? |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쉽게 풀어드립니다 플라스틱 속 비스페놀 A, 왜 없는 게 더 안전한 걸까?BPA란 무엇인가?BPA (Bisphenol A, 비스페놀 A)는 플라스틱을 만들 때 쓰이는 유기 화합물입니다. 주로 폴리카보네이트(PC) 플라스틱과 에폭시 수지 제조에 사용되며, 투명성과 내구성이 좋아 물병, 식기, 캔 내부 코팅 등에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즉,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투명 플라스틱 용기 속에 BPA가 포함되어 있었던 겁니다.왜 BPA가 문제일까?BPA는 플라스틱이 고온·노출 조건에서 소량 용출될 수 있습니다. 체내로 들어온 BPA는 내분비계 교란 물질(Endocrine Disruptor)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입니다.호르몬(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구조 → 내분비계 교란 가능성동물실험에서 생식·발달 이상 보고어린이·임산부 노출에.. 2025. 9. 15.
방향족 화합물 이야기 |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쉽게 풀어드립니다 벤젠 고리에서 시작된 화학의 향기, 그리고 화공학 속 방향족 세계방향족 화합물이란?방향족 화합물(Aromatic Compounds)은 대표적으로 벤젠(Benzene) 고리를 기본 구조로 갖는 화합물입니다. 이름은 과거 이 화합물들이 ‘특유의 향’을 가진 경우가 많아 붙여졌지만, 오늘날에는 구조적 특징을 의미합니다. 즉, 육각형 고리 + 공명 구조가 핵심입니다.벤젠 고리의 구조벤젠은 C₆H₆라는 분자식을 가지고, 탄소 6개가 정육각형 고리를 이룹니다. 전자는 단일결합·이중결합으로 국한되지 않고, 고리 전체에 퍼져 있는 공명 구조를 형성합니다.결합 길이: 모든 C–C 결합이 동일 (약 1.39 Å)전자구조: π 전자가 고리 전체에 비공유화 → 안정성↑특징: 고리형 구조에서 전자가 순환 → “방향족성(Arom.. 2025.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