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

윤활유 이야기 |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쉽게 풀어드립니다 자동차 엔진오일부터 자전거 체인까지, 윤활유 속 화공학윤활유란 무엇인가?윤활유(Lubricant)는 기계나 장치의 마찰을 줄이고, 마모를 방지하며, 열을 빼앗아가는 역할을 하는 액체나 반고체 물질입니다. 자동차 엔진오일, 자전거 체인 오일, 공장 설비의 기계유, 심지어 주방에서 쓰는 식용유까지 모두 넓은 의미의 윤활유라고 할 수 있습니다.왜 윤활유가 필요할까?기계 장치는 대부분 금속이 맞닿아 움직입니다. 이때 마찰이 크면:열 발생 → 부품 손상마모 → 수명 단축에너지 손실 → 효율 저하윤활유는 마찰계수 감소 + 열 제거 + 표면 보호라는 세 가지 효과로 기계의 수명을 연장시킵니다.윤활유의 구성화공학적으로 윤활유는 크게 두 가지 성분으로 나뉩니다.기유(Base Oil): 윤활유의 70~90%를 차지. - .. 2025. 9. 13.
전자렌지와 플라스틱 용기, 과연 안전할까? |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풀어주는 진실 아기 젖병부터 도시락 용기까지, 전자렌지 속 플라스틱의 과학문제 제기: “전자렌지에 플라스틱은 위험하다?”마트에서 파는 아기 젖병이나 도시락 용기에는 “전자렌지 사용 가능”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해외 영상이나 기사에서는 “모든 플라스틱은 전자렌지에 넣으면 유해물질이 나온다”고 주장하기도 하죠. 과연 어떤 말이 사실일까요?전자렌지와 플라스틱의 원리전자렌지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해 음식 속 물 분자를 진동시켜 가열합니다. 플라스틱 자체는 마이크로파를 거의 흡수하지 않지만, 가열된 음식/물과 플라스틱 표면이 접촉하면서 화학물질이 용출될 수 있습니다.플라스틱 종류별 안전성PP (폴리프로필렌): 내열성 우수(120℃ 이상) → 전자렌지용 용기와 젖병에 가장 많이 사용PE (폴리에틸렌): 내열성이 낮아(7.. 2025. 9. 13.
폴리에틸렌(PE) vs 폴리프로필렌(PP) |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쉽게 풀어주는 생활 속 플라스틱 비닐봉투부터 도시락 용기까지, 플라스틱 형제의 차이왜 PE와 PP가 중요할까?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플라스틱은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입니다. 비닐봉투, 페트병 뚜껑, 도시락 용기, 자동차 부품 등 우리 생활 속 거의 모든 곳에 이 두 형제가 쓰이고 있습니다.1. 폴리에틸렌 (PE, Polyethylene)화학적 구조: 에틸렌(C₂H₄) 단량체가 중합되어 만들어진 단순한 구조의 고분자. 종류에 따라 밀도·강도가 달라집니다.LDPE (저밀도 PE): 유연성, 투명성 → 비닐봉투, 랩 필름HDPE (고밀도 PE): 강도, 내화학성 ↑ → 세제통, 파이프생활 속 예시: 비닐봉투, 랩, 페트병 뚜껑, 세제통, 파이프2. 폴리프로필렌 (PP, Polypropylene)화학적 구조: 프로필렌.. 2025. 9. 12.
폴리스타이렌(PS) 이야기 |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풀어주는 일회용 컵과 스티로폼의 과학 가볍고 값싼 플라스틱의 양면성, PS의 장점과 환경 문제폴리스타이렌이란 무엇일까?폴리스타이렌(PS, Polystyrene)은 스티렌(Stylene, C₆H₅CH=CH₂)이라는 단량체가 라디칼 중합을 통해 만들어진 열가소성 고분자입니다. 투명하고 가볍지만, 충격에 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우리 생활 속에서는 일회용 컵, 포장재, 스티로폼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플라스틱 중 하나입니다.PS의 특징투명성: 일반 PS는 맑고 투명가공성: 사출·압출로 대량생산 쉬움가벼움: 밀도가 낮아 운송 효율 ↑가격: 저렴한 범용 플라스틱단점: 충격에 약하고, 열에 취약PS의 종류일반 PS (GPPS): 투명 컵, 포장재충격강화 PS (HIPS): 고무 입자를 혼합 → 강도 보완 → 가전제품 외장재발포 PS (EPS): 가스.. 2025. 9. 12.
히터와 보일러 작동 원리 |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쉽게 풀어드립니다 겨울철 필수품, 히터와 보일러 속에 숨어 있는 화공학 이야기히터와 보일러, 어떻게 다를까?히터(Heater)는 공기를 직접 데워 따뜻하게 해주는 장치이고, 보일러(Boiler)는 물을 가열해 온수나 스팀을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집에서는 바닥난방과 온수를, 산업 현장에서는 터빈 구동, 화학공정 가열원으로 쓰입니다.히터의 작동 원리히터는 전기 에너지나 연료 연소열을 이용해 공기를 데웁니다.전기히터: 전기 저항체(니크롬선 등)가 전류를 받아 열을 발생 → 공기 순환팬으로 따뜻한 바람가스히터: 도시가스(LNG, LPG) 연소 → 연소열이 열교환기를 통해 실내 공기를 데움적외선 히터: 복사열로 물체를 직접 가열, 마치 햇볕을 쬐는 느낌즉, 히터는 열 전달(전도·대류·복사)를 통해 실내 공간을 빠르게 데웁니다.보일.. 2025. 9. 12.
에어컨 작동 원리 |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쉽게 풀어드립니다 냉매,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화공학의 눈으로 본 에어컨 이야기일상 속 필수품, 에어컨한여름에 가장 고마운 기계가 있다면 단연 에어컨일 것입니다. 버튼 하나만 누르면 뜨거운 공기가 시원한 바람으로 바뀌는 이 장치는 어떻게 작동할까요? 화학공학 엔지니어의 시선으로, 냉매와 열역학을 중심으로 쉽게 풀어보겠습니다.에어컨의 기본 원리: 열을 옮기는 장치에어컨은 단순히 차가운 바람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실내의 열을 실외로 옮기는 장치입니다. 이 과정의 주인공이 바로 냉매(Refrigerant)입니다.냉매는 기체 ↔ 액체로 상태 변화를 하며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잠열(Latent Heat)을 이용해 공기를 냉각합니다.에어컨을 구성하는 4대 장치1. 압축기(Compressor)저온·저압.. 2025. 9.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