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이야기 |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쉽게 풀어드립니다 나일론부터 ABS까지, 일상 속에서 만나는 고분자공학의 성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란?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은 일반 플라스틱보다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화학성이 뛰어나 금속이나 유리의 대체재로 쓰이는 고성능 플라스틱입니다. 고분자공학의 한 분야로, 화학공학에서 중합 반응과 재료공학적 설계가 결합해 만들어졌습니다.일상에서는 자동차 부품, 전자기기, 스포츠용품, 생활가전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대표적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1. 나일론 6,6 (Nylon 6,6)나일론 6,6은 아디픽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을 축합중합해 얻는 고분자입니다.특징: 강도 높음, 내마모성 우수, 내열성 양호용도: 섬유(스타킹, 의류), 기어, 베어링, 자동차 엔지니어링 부품2. 폴리옥시메틸렌(POM.. 2025. 9. 14.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와 화학공학 | 엔지니어가 풀어주는 미래 모빌리티의 과학 배터리차와 다른 길, 수소차의 원리와 화학공학적 비밀수소 연료전지 자동차란?수소 연료전지 자동차(FCEV, Fuel Cell Electric Vehicle)는 배터리에 전기를 저장하지 않고, 수소(H₂)와 산소(O₂)의 화학반응을 통해 전기를 직접 만들어 구동하는 차량입니다. 대표적으로 현대차의 넥쏘(NEXO)가 있습니다.연료전지의 기본 원리수소 연료전지는 전기화학적 반응을 이용합니다.양극(Anode): H₂ → 2H⁺ + 2e⁻전해질: H⁺ 이온만 통과 (PEM: 고분자 전해질 막)음극(Cathode): ½O₂ + 2H⁺ + 2e⁻ → H₂O즉, 연소 없이 물(H₂O)만 배출연료전지 자동차의 장점무공해: 배출가스 대신 물만 나옴빠른 충전: 5분 내외 충전으로 600km 이상 주행 가능고효율: 열효율 4.. 2025. 9. 14.
자동차 배터리와 화학공학 | 납축전지부터 리튬이온까지, 전기차 시대의 에너지 과학 시동용 배터리부터 전기차 배터리까지,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풀어주는 배터리의 비밀자동차 배터리, 왜 중요한가?자동차에서 배터리는 단순히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가 아닙니다. 시동, 점화, 전자장치 구동, 그리고 최근에는 전기차의 동력원까지 담당하고 있죠. 자동차 배터리는 크게 납축전지(Lead-Acid)와 리튬이온(Li-ion) 배터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1. 납축전지 (Lead-Acid Battery)납축전지는 1859년 프랑스의 플랑테(Gaston Planté)가 발명한 이후 100년 넘게 사용된 고전적인 전지입니다.구조:양극: PbO₂ (이산화납)음극: Pb (납)전해질: 황산(H₂SO₄) 수용액반응 원리:방전 시: PbO₂ + Pb + 2H₂SO₄ → 2PbSO₄ + 2H₂O충전 시: 역반응으로 Pb와.. 2025. 9. 14.
아스팔트 이야기 |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쉽게 풀어드립니다 원유 증류탑의 마지막 산물, 도로 위를 지탱하는 화공학의 결정체아스팔트란 무엇인가?아스팔트(Asphalt)는 원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무겁고 끈적한 잔사유입니다. 도로 포장, 방수재, 지붕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특히 우리가 매일 걷고 달리는 도로의 주재료로 쓰입니다.화공학적으로 보면 아스팔트는 단순한 검은 물질이 아니라, 고분자·방향족 탄화수소 혼합체로 이루어진 복잡한 화학 시스템입니다.아스팔트는 어떻게 만들어질까?아스팔트는 원유 정제의 마지막 단계에서 나옵니다.원유 증류: 원유를 가열해 끓는점에 따라 분리 - 가솔린, 등유, 디젤 → 낮은 끓는점에서 추출 - 중질유, 윤활유 → 중간 범위 - 아스팔트 → 가장 무겁고 끓는점이 높은 잔사진공 증류: 대기압에서 증류되지 않는 잔사를 진공.. 2025. 9. 13.
자동차 냉각수(부동액)와 화학공학 |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풀어주는 엔진 냉각의 비밀 물이 아닌 부동액을 쓰는 이유, 그 속에 숨은 화공학 이야기냉각수, 왜 필요한가?자동차 엔진은 연소 과정에서 엄청난 열을 발생시킵니다. 이 열을 효과적으로 식히지 못하면 엔진이 과열되어 손상될 수 있죠. 그래서 사용되는 것이 바로 냉각수(Coolant)입니다.단순히 물이 아니라 특수 화학물질이 섞인 용액을 쓰는데, 이것을 흔히 부동액(Antifreeze)이라고 부릅니다.왜 물 대신 부동액을 쓸까?어는점 하강: 겨울철에도 얼지 않도록 –40℃까지 낮춤끓는점 상승: 고온에서도 끓지 않고 엔진 냉각 가능부식 방지: 금속 부품의 산화·부식 억제윤활 효과: 워터펌프 같은 부품 보호즉, 냉각수는 단순한 물이 아니라 화공학적으로 설계된 다기능 용액입니다.냉각수의 주요 성분에틸렌 글리콜(EG): 가장 많이 쓰이는 부동.. 2025. 9. 13.
자동차 엔진오일과 화학공학 |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풀어주는 윤활유의 과학 단순한 기름이 아닌, 엔진 보호를 위한 화공학의 결정체엔진오일, 왜 필요한가?자동차 엔진은 초당 수천 번의 폭발과 마찰이 일어나는 고온·고압 환경에서 작동합니다. 이런 혹독한 조건에서 엔진을 보호하는 것이 바로 엔진오일입니다.엔진오일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윤활: 금속 간 마찰을 줄여 마모 방지냉각: 연소열을 흡수·분산밀봉: 피스톤-실린더 사이 틈새를 메워 압축 효율 유지세정: 불순물·슬러지를 흡착해 청결 유지방청: 금속 표면 산화·부식 방지엔진오일의 구성엔진오일은 크게 기유(Base Oil)와 첨가제(Additives)로 나눌 수 있습니다.1. 기유(Base Oil)광유계: 원유를 진공 증류 후 정제 → 파라핀계, 나프텐계합성유: 화학적으로 합성한 PAO(폴리알파올레핀), 에스테르 기반 → 고성.. 2025. 9.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