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5 소주 이야기 |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풀어주는 증류공학 막걸리에서 소주까지, 발효주를 증류해 얻는 고도주의 비밀소주의 시작: 발효주소주는 바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쌀·보리·고구마 등 곡물 발효주(막걸리, 청주)를 먼저 만든 뒤, 이를 증류해 얻습니다. 즉, 소주는 발효와 증류가 결합된 2단계 주조공정입니다.증류란 무엇인가?증류(Distillation)는 혼합액을 가열해 끓는점 차이를 이용해 성분을 분리하는 공정입니다. 발효주에는 에탄올(알코올)과 물, 다양한 향 성분이 섞여 있습니다.끓는점은 다음과 같습니다.에탄올: 약 78.3℃물: 100℃따라서 발효주를 가열하면 에탄올이 먼저 증발하고, 이를 냉각·응축하면 도수가 높은 술 = 소주가 되는 것입니다.증류식 소주 vs 희석식 소주1. 증류식 소주전통 방식. 발효주를 직접 증류해 20~30도 .. 2025. 9. 22. 막걸리 이야기 |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쉽게 풀어주는 전통 발효공학 쌀, 누룩, 효모가 만나 탄생하는 한국의 발효과학막걸리는 어떻게 만들어질까?막걸리는 한국 전통주로, 쌀·물·누룩이 기본 재료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섞는다고 술이 되지 않습니다. 핵심은 누룩 속 효소와 미생물이 만들어내는 복합 발효공정입니다.막걸리 발효의 두 가지 핵심막걸리의 특징은 동시당화병행발효(SSF,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입니다.당화: 쌀 전분 → 아밀라아제 효소 → 포도당발효: 포도당 → 효모 → 에탄올 + CO₂즉, 전분이 당으로 분해되는 과정과, 당이 알코올로 바뀌는 과정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이 막걸리의 특징입니다.누룩의 역할누룩은 밀, 보리, 쌀 등을 발효시켜 만든 발효제입니다. 여기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공존합니다.효소 생산균: .. 2025. 9. 22. 와인(포도주) 이야기 |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쉽게 풀어주는 발효와 숙성 포도 한 알이 와인 한 잔이 되기까지, 발효공학의 모든 것와인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와인은 포도라는 단순한 원료에서 출발합니다. 하지만 포도가 와인이 되기 위해서는 발효공정과 숙성공정이라는 정교한 화학·생물학적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즉, 와인은 단순 음료가 아니라 자연이 만든 발효공학의 결정체라 할 수 있습니다.포도 → 와인, 발효공정의 핵심포도 속 당분(포도당, 과당)은 효모에 의해 알코올로 전환됩니다. C₆H₁₂O₆ → 2 C₂H₅OH + 2 CO₂ ↑ 즉, 포도당이 에탄올(알코올)과 이산화탄소로 변하는 알코올 발효가 와인의 핵심입니다.당분 함량: 포도의 숙성 정도에 따라 와인의 도수와 맛이 달라짐효모 역할: 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가 가장 많이 사용됨발효 조건: 보통 10~3.. 2025. 9. 22. 맥주 양조 이야기 |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쉽게 풀어주는 발효공정 맥주는 단순 음료가 아니라, 발효와 화공학이 만들어낸 작은 플랜트맥주, 어떻게 만들어질까?맥주는 보리, 물, 홉, 효모 네 가지 재료로 만들어집니다. 하지만 단순히 섞는다고 되는 게 아니라, 발효공정을 거쳐야 합니다. 발효란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해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를 만들어내는 과정으로, 화학공학적으로는 생물반응기(Bioreactor) 안에서 일어나는 반응이라 할 수 있습니다.맥주 양조의 주요 단계맥아 제조(Malting) → 보리를 발아시켜 전분을 당분으로 바꿀 수 있는 효소(아밀라아제) 활성화당화(Mashing) → 전분을 효소가 분해해 포도당·맥아당 생성홉 첨가(Boiling) → 쓴맛·향 부여, 항균 효과발효(Fermentation) → 효모가 당분을 에탄올 + CO₂로 전환숙성(Maturat.. 2025. 9. 21. 커피 내리는 원리 |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쉽게 풀어드립니다 커피머신은 작은 증류탑? 일상 속에서 배우는 열·물질전달커피, 단순한 음료일까?아침마다 마시는 커피. 하지만 커피를 내리는 과정은 단순한 물 붓기가 아닙니다. 사실은 열역학, 물질전달, 여과공정이 모두 작동하는 작은 화학공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특히 에스프레소 머신은 “작은 증류탑”으로 이해하면 쉽습니다. 뜨거운 물과 압력을 이용해 커피 원두 속에서 원하는 성분만 추출하기 때문입니다.커피 추출의 세 가지 핵심열전달: 뜨거운 물이 원두 입자에 열을 전달 → 성분 용출물질전달: 카페인, 향미 성분, 산·당류가 물로 확산여과: 고형분(커피 찌꺼기)은 필터에 걸러지고 액체만 통과즉, 커피 내리기는 “고체-액체 추출 공정”입니다.커피머신 = 작은 증류탑?증류탑에서 액체 혼합물을 끓이면 성분마다 휘발성이 달라 분리.. 2025. 9. 21. 매직블럭(멜라민 스펀지) 이야기 | 화학공학 엔지니어가 쉽게 풀어주는 세정의 비밀 세제 없이도 때가 지워지는 이유, 멜라민 폼의 과학매직블럭이란 무엇일까?매직블럭은 하얀색 큐브 모양의 스펀지로, 물만 묻혀도 묵은 때가 지워지는 신기한 청소도구입니다. 정식 명칭은 멜라민 스펀지(Melamine Foam)이며, 원료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입니다.처음에는 단열재와 방음재로 개발되었으나, 그 미세구조 덕분에 뛰어난 세정 효과가 발견되면서 청소용품으로 확산되었습니다.세제가 없어도 잘 지워지는 원리매직블럭은 화학반응이 아닌 물리적 마찰로 때를 제거합니다. 멜라민 스펀지의 구조는 매우 초미세 다공성(세포구조)으로, 일종의 나노 수준 사포와 같습니다.강도: 멜라민 수지는 단단해, 표면을 살짝 긁어낼 수 있음다공성: 미세한 기공이 오염물질을 걸러내고 흡착물 흡수력: 물이 스폰지에 퍼져 마찰을 부드.. 2025. 9. 20. 이전 1 2 3 4 5 6 ··· 13 다음